-
교육소개
노동자 vs 근로자
올바른 직장예절
알바하기 전 알아두어야 할 사항
청소년 유해업소의 정의
청소년 고용금지·가능 업소
직장내 성희롱과 성희롱 대응법
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 의미·종류·산재보상
산재보상제도의 의미와 보상기준
법정근로시간, 소정근로시간, 연장근로시간
근로시간의 범주
야간근로시간과 청소년 야간근로 제한의 원칙 및 예외 경우
청소년의 연장근로 가능 시간과 가산수당
근로계약과 근로계약서 및 근로계약서 작성법
5인 미만 사업장의 근로기준법 적용
주휴수당의 적용 개념과 계산방법
시간 꺾기와 임금 꺾기
알바 시 구비하여야 하는 서류 종류
폭언, 폭행, 강제 근로 사례와 대처 요령
수습기간과 수습근로자 및 임금 지급
퇴직금 지급요건과 계산방법
직장 내 괴롭힘의 개념과 종류, 대처 방법
정당한 이유 없는 해고의 제한과 해고 예고
임금체불의 개념과 임금체불에 해당하는 경우, 임금체불진정 제기 등 권리구제방법
근로자 판단기준
감정노동의 사례와 감정노동자 보호 방법
임금지급의 4원칙과 원칙 위반사례 -
교육목표
청소년 및 소상공인 등을 위한 노동인권과 권익에 대한 온라인콘텐츠 개발·대민 무상보급으로 우리사회 노동존중 사회 실현
-
교육내용
-
문의처
한국고용노동교육원
연구개발실 031-760-7712
차시명 | 필수여부 | |
---|---|---|
모듈 1 | ||
차시명
제1차시 알바생의 행복한 삶 행복한 노동
|
필수여부
|
|
차시명
제2차시 알바생의 알바예절과 윤리
|
필수여부
|
|
차시명
제3차시 청소년 알바의 10계명
|
필수여부
|
|
차시명
제4차시 청소년 알바 유해업소 알아보기
|
필수여부
|
|
차시명
제5차시 알바현장에서의 성희롱 대처
|
필수여부
|
|
차시명
제6차시 알바현장에서의 안전
|
필수여부
|
|
차시명
제7차시 알바현장에서의 산재와 보상
|
필수여부
|
|
차시명
제8차시 알바생들의 근로시간 연장근로시간
|
필수여부
|
|
차시명
제9차시 알바생들의 근로시간 범주와 휴게시간
|
필수여부
|
|
차시명
제10차시 알바생들의 야간근로
|
필수여부
|
|
차시명
제11차시 알바생들의 연장근로
|
필수여부
|
|
차시명
제12차시 알바 근로계약서 작성
|
필수여부
|
|
차시명
제13차시 5인 미만 사업장에서의 알바
|
필수여부
|
|
차시명
제14차시 알바생 최저임금과 수당계산
|
필수여부
|
|
차시명
제15차시 알바생의 휴업수당
|
필수여부
|
|
차시명
제16차시 알바시작 시 구비서류
|
필수여부
|
|
차시명
제17차시 알바현장에서의 폭언·폭행 대처
|
필수여부
|
|
차시명
제18차시 알바생의 수습기간
|
필수여부
|
|
차시명
제19차시 알바생의 퇴직금
|
필수여부
|
|
차시명
제20차시 알바현장에서의 괴롭힘과 대처
|
필수여부
|
|
차시명
제21차시 알바생 해고와 해고예고
|
필수여부
|
|
차시명
제22차시 알바생 임금 체불과 대처
|
필수여부
|
|
차시명
제23차시 알바생의 근로자 판단기준
|
필수여부
|
|
차시명
제24차시 알바생의 감정노동
|
필수여부
|
|
차시명
제25차시 알바생의 임금지급 원칙
|
필수여부
|